Video Thumbnail





환율 Currency



1) US달러 DXY





달러 지수는 유로화, 엔화, 파운드화, 스위스 프랑, 스웨덴 크로네, 캐나다 달러 대비 상대가치

이 중 유로화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유로화와의 움직임과 비교에 적합

달러가 강세일수록 미증시는 강세, 반대로 달러가 약세일 때 미증시는 약세

달러 약세 = 신흥국 투자 매력도 상승

AUD/CHF와 동조하는 움직임, 그 추세를 후행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 또한 특징


2) 유로화 EUR/USD





전 세계 GDP의 12%(EU 기준 17%)를 차지하는 유로지역의 경제력을 감안했을 때 유로화는 매우 중요

유로화는 국제통화로서 전 세계 60여개국이 자국의 통화로 사용하거나 통화가치를 연동중

글로벌 결제의 36%(2017년 기준)를 차지하고 있는 세계 2위 결제 통화

달러가 약세를 보일 때 유로화는 강세(=구매력 상승)를 보이는 것에 집중

신흥국은 유로화 대비 상대적 약세이므로 유럽으로의 수출에 긍정적


3) 엔화 USD/JPY





세계 3대 부자인 일본이 해외에 투자한 엄청난 자산을 팔고 본국으로 돌아올 때 엔화 강세가 발생

엔화 강세는 경제 위기 신호로 인한 안전자산 선호 상승으로 해석 가능


4) 위안화 USD/CNY





미국과의 무역 갈등의 진행 상황에 따른 위안화의 움직임에 집중할 것


5) 달러/원 USD/KRW





대한민국은 중국과의 무역비중이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

중국 위안화동조하여 움직이는 경향






원자재 Commodities



1) 원유 Oil





석유는 지구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원자재로써 물가 상승의 주요인

달러 가치가 하락할수록 달러로 거래되는 석유의 가격이 올라가고 동시에 약달러로 신흥국이 수혜를 봄

석유와 신흥국 주식은 추세적으로 동조하는 경향


2) 금/은 Gold/Silver Ratio





'금'은 안전자산으로써 중요

'은'은 산업용으로써 많이 사용

'은' 가격이 올라 금/은 비율이 낮아질수록(은가격 상승) 안전자산 선호도는 떨어지고 경제가 개선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 가능


3) 구리 Copper





구리는 자동차, 건설, 해운, 가전 등 제조업 전반에 사용

실물 경제바로미터

동시 또는 후행성 지표로 사용 가능

구리 수요가 늘어나 구리 값이 오른다는 것은 기업들이 설비투자나 생산을 늘리려는 것이고 이는 결국 경기 회복 신호를 의미






금리 Interest rates



1) 돈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움직이는 금리 - 출처 대한민국 기획재정부




은행은 돈을 빌려간 사람(대출자)에게 돈에 대한 사용료(대출이자)를 받아 예금한 사람에게 사용료(예금이자)를 지급

이처럼 금리는 "돈에 대한 사용료"라고 할 수 있으며, 소비와 투자를 위해 돈에 대한 수요가 금리가 상승

반대로 빌려주려는 돈이 많아지면 돈의 공급이 증가, 그 결과 금리는 내려감. 이처럼 금리도 돈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

금리는 한 국가에서 통용되는 "돈의 양(=통화량)"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고, 이 때문에 각 국가의 통화정책을 관장하는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결정

그리고 중앙은행이 정한 기준금리에 맞춰 시중은행은 단기금리를 조정



2) 미국 단기금리(3개월,2년) - 출처 대한민국 기획재정부

단기금리는 기준금리가 ‘기준’이 되기 때문에 미국 국채 단기 금리는 기준금리와 같은 흐름을 보임

그러므로 미국의 단기국채 금리는 미국의 기준금리가 인상/인하되면 같은 방향으로 움직임



3) 미국 장기금리(10년) - 출처 대한민국 기획재정부

장기금리는 단기금리에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인 ‘유동성 프리미엄'을 더해 결정

돈을 빌려주는 기간이 길어지면 그만큼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예상치 못한 일이 발생하여 채무 불이행이 길어지거나 확정될 수 있기 때문

위와 같은 이유로 장기금리가 단기금리보다 높은 것이 일반적인 현상

추가로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로 안전자산인 미국 장기국채데 대한 수요가 급증 할 경우, 국채가격은 올라가고 국채금리는 하락하면서 장단기 금리 역전을 유발 할 수 있음



4)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 - 출처 대한민국 기획재정부




사람들이 장기국채를 많이 사려 한다는 것은 경기가 어려워질 것이라는 우려를 반영한 것이며,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은 경제 전망이 어두울 때 나타나는 일반적인 현상

1960년 이후 나타난 아홉 차례의 장단기 금리 역전 중 일곱 차례나 장단기 금리가 역전된 이후 예기치 못한 경제적 충격이 발생하면서 경기침체로 이어졌었음

이번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은 12년 만에 나타난 현상이어서 더욱 주목


Video Thumbnail








CONTACT

JRFO - SUNG JIN, CHO

CONTACT DETAILS

Address

19 Grand Trunk Cres, Toronto, ON, CANADA

Mobile

+16479968313